대학 동기들과 n년째 엠티를 다닌다.ㅎㅎ 여름에는 물놀이 가고, 겨울에는 연말 파티를 한다. 물놀이는 주로 펜션을, 연말에는 파티룸을 예약한다. 아침까지 술마셔도 짱짱했던 날을 지나, 이제는 숙취해소제도 공금으로 구비하는 멋진 친구들..
작년 연말, 장소를 미리 준비하지 못한 우리 1n 학번 친구들은 발등에 불 떨어져 온갖 플랫폼을 다 뒤졌다.
개중에 파티룸이 가장 많이 등록된 스페이스클라우드를 주로 보았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파티룸을 빌리려면 여기어때와 야놀자 등 숙박 어플을 켜 파티룸이 있는 (호텔을 빙자한) 모텔을 따로 찾아봤어야 했는데, 세상이 좋아지고 있다.
오랜만에 만난 중딩 시절 친구는 다음엔 댄스연습실을 빌려서 춤추고 놀자고 했다. 설렌다. 10년 넘게 친구하면서 서로 춤추는 모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친구는 뉴진스 같은 춤 생각하고 있을 텐데 미안하지만 난 홍박사님을 아세요 추고 싶다...
아무튼, 때가 되면 연습실을 예약하러 스페이스클라우드를 찾아야겠다.
스페이스클라우드는 다양한 종류의 공간을 시간 단위로 대여할 수 있는 공간 대여(공유) 플랫폼이다.
1. 스페이스클라우드는 어떤 문제를 풀려고 하나? 어쩌다 창업했을까?
스페이스클라우드 정수현 대표의 인터뷰 자료를 모아보면 아래와 같이 세줄 요약을 할 수 있다. 1) 비영리단체 실무자로서 세미나, 회의를 기획 & 운영하였는데 적절한 장소를 찾아 예약하는 일이 가장 고생이었다고 한다.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동료들도 겪는 문제였다고. 그때 떠오른 질문은 '내가 필요한 만큼만 공간을 쓸 수는 없을까?'였다. (Pain point 발견) 2)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도심 공실률은 높다. 이는 노는 공간이 많다는 뜻. 유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고 한다. (Solution 발견) 2) 코워킹 스페이스 '스페이스 노아'를 직접 운영하였는데, 방 6개에서 2억의 매출을 만들어냈다. 성공이었다. 빈 공간을 갖고 있는 다른 사업주들에게서도 문의가 쇄도하여 수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Business 발견) |
처음에는 유튜브, 뉴스 기사마다 창업 이유가 살짝씩 다르게 나와있어 헷갈렸다. 뭐 시간이 흐르면 기업의 기조도 바뀔 수 있다 생각하며 넘겼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도 창업 이유(과거)가 바뀔 순 없잖아? 싶어서 다시 종합해 보니 놓치고 있던 흐름이 보인다.
요즘에서야 n잡이 유행하며 유튜브와 인터넷에 공간 창업에 관한 영상이 많지만, 스페이스 노아를 창업한 건 2012년이다. 공간 창업 1세대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공간 수요자(게스트)와 공급자(호스트) 입장을 모두 경험해보았고, 그 속에서 더 큰 시장 가치를 찾아낸 점이 인상 깊다.
2. 스페이스클라우드의 핵심 가치는 무엇인가?
MZ세대(서비스 핵심 타겟)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에 맞게 기획한 유휴 공간을 소비자와 연결시켜 사회 자원의 낭비를 막는 것이다. 더 나아가, 공간을 중심으로 로컬브랜드 비즈니스를 키우는 것 |
스페이스클라우드의 핵심 가치는 이렇게 정의할 수 있는데, 여러 가지 행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목적” , “사용자의 콘텐츠” , “창의적 활용”, “로컬”을 강조하는 대표자의 발언이라든지
게스트의 라이프스타일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에 맞는 기획전을 열기도 한다.
첫 브랜드 캠페인의 모델은 개성 넘치는 스걸파 댄서 하리무, 슬로건은 '나의 플레이그라운드 스페이스클라우드'이다.
3. 풀고자 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가?
지표로 보는 비즈니스 상황은 아래와 같다.
- 누적 거래 예약건수 500만 (2023)
- 누적 거래액 1,100억원 (2023)
- 누적 회원수 140만명 (2023)
- 등록 공간 6만 1000여개 (2022)
우선, 스페이스클라우드에 등록된 공간의 종류와 공간의 수가 엄청나다. 전국적으로 6만 개라니...
개성 있게 꾸며놓은 공간들 구경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주제에 맞는 공간들을 모아 기획전도 진행하는데 추가 할인은 없는 듯하다.
코로나와 급성장해 2023년 5월까지 누적 예약건수는 500만 건을 달성했으며 누적 거래액은 1,100억 원이다.
4. 잘 해결하고 있는가?
스페이스클라우드는 제품 수명 주기 단계 중 성장~성숙기 사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제품 수명 주기 | 중요한 것 |
Introduction (2016~2019) | '공간 공유', '공간 대여' 라는 개념이 익숙하지 않던 시장 진입 초기에는 호스트를 설득해야 했다. 전국을 돌아다니며 설명회를 열었다고 한다. 새로운 시장을 알리고, 호스트의 운영 리스크를 낮추어 그들이 공간을 제공하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야 했다. |
Growth (2019~2022) | 코로나로 인한 거리두기 정책을 따른 공간을 기획하고 MZ세대의 변화한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공간을 공급하는 게 가장 중요했다. 잘 해냈기에 코로나와 함께 급성장하였다. '호스트데이'를 정기적으로 열어 교육과 네트워킹 장을 제공한다. 호스트는 유휴 공간을 보유하며 이걸로 수익을 창출하고 싶은 마음은 있어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모른다. 게스트 수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호스트의 공간에 게스트의 니즈를 반영한다. |
Maturity (2023~) | 이제 호스트들은 리스크를 걱정하기보다는 더 많은 수익을 기대하며 스페이스클라우드에 모인다. 유튜브에서는 공간 창업에 관한 영상을 예전보다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개성 있는 공간들은 이미 모여있다. 게스트가 취향에 맞는 공간을 어떻게 잘 찾을 것이며 예약으로 전환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
스페이스클라우드 웹페이지는 아직 게스트보다 호스트의 편의를 고려한 지점들이 보였다.
몇 가지 예를 들면,
- 긴 광고 구좌. 100% 기간형 노출 방식으로 스크롤을 한참 내려야 광고 아닌 공간을 볼 수 있으며 광고 구좌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 평점 필터 없으며, 공간 전시 페이지에도 평점 정보는 없다.
- 컴플레인 방지를 위해 공간마다 공간 소개, 유의 사항을 적어 놓은 방식이 상이하며 장황하다.
- 카테고리 종류와 나열이 혼란스럽다.
스페이스클라우드가 모든 공간을 직접 제공할 수 없으니 호스트와의 상생은 필수이다.
하지만 이제는 게스트의 편의성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주어야 한다.
세 가지 이유로 게스트에 초점을 맞출 때라고 보았다. 1) 지금까지 호스트 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 왔으며, 개성 있는 공간은 많이 생겨났으며, 앞으로도 계속 생길 것이다. 이제는 게스트들이 취향에 맞는 공간을 찾을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2) 호스트가 스페이스클라우드를 찾는 이유는 결국 '고객'을 많이 만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서이고, 그렇담 게스트가 많이, 자주 찾아오도록 해야 한다. 그 방향이 곧 호스트를 위한 길이기도 하다. 3) 공간 대여 시장 자체와 스페이스클라우드의 시장 점유율을 키우기 위해서는 '거래액'이 늘어나야 한다. 게스트가 공간을 더 많이 자주 대여해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인스파이어드 책에 나오는 이베이의 깨달음을 공유하며 이번 포스팅을 마친다.
구매자와 판매자가 서로 원하는 것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우리는 구매자가 필요로 하는 것에 우선을 둔다. 그것이 판매자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https://platum.kr/archives/207672
https://www.fnnews.com/news/202203211118149980
https://www.socialimpact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67
https://partner.spacecloud.kr/
https://www.itbiz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8170
http://www.jaturi.kr/news/articleView.html?idxno=8261
https://www.socialimpact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67
https://www.youtube.com/live/tXeOTmMRp9g?feature=share
'프로덕트 매니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기 위한 6가지 핵심 기술 + 예시 (아마존 프로덕트 헤드 출신 Aseem Dokania 글 번역) (2) | 2024.02.21 |
---|---|
리더와 실무진을 설득하는 PRD 작성 마스터하기 (ft. PO & PM Lounge) 회고 (0) | 2024.02.17 |
퍼널 분석 - [쏘카]를 진작 빌렸더라면, 차를 안 빌려주는 아빠에게 감정이 상하지 않았을텐데 (0) | 2023.09.05 |
[스페이스클라우드] 2 - 역기획 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인사이트 (0) | 2023.08.15 |
프로덕트 매니저의 문제 정의, 그리고 정체성 정의하기 (0) | 2023.07.28 |